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에서 홈플러스 검사 및 조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는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회계담당 부원장. (사진출처 : 뉴시스)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회계부문 부원장은 오늘(1일) 서울 영등포구 금감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신용평가 등급 하향 가능성 인지, 회생신청 경위, 신청 등에 대해 그간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측 해명과 다른 정황이 발견되는 등 유의미한 진전이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함 부원장은 "신용평가 하방위험을 인지한 시점이 언제인가, 또 회생신청을 언제부터 기획하고 신청했는지 등이 쟁점"이라며 "신용등급 하락 결과가 발표된 날짜 이전에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동양, LIG와 같은 사례처럼 사기적 부정거래를 성립시킬 수 있을지 보고 있다"며 "만약 해당된다면 형사처벌 사안이고 MBK파트너스가 금감원의 검사대상이니 행정제재도 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금감원은 또 이번 주부터 홈플러스에 대한 회계 심사를 강제성 있는 감리로 전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회계 심사와 관련해서도 처리 기준 위반 개연성이 발견됐다"며 "이번 주부터 감리로 전환해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고 있다"고 전환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또 "홈플러스 회생 절차가 개시되면서 소상공인 기업어음(CP), 전단채 투자자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MBK와 홈플러스가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을 앞두고 유동화증권의 상거래 채권 취급 입장문 등을 내놓았으나 구체성이 부족해 진정성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지금이라도 홈플러스는 스스로 약속한 전액 변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해 이해관계자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며 "금감원도 보유 역량을 총동원해 사기적 부정거래 등 각종 의혹을 철저히 규명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