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 첫 회동에서 대통령과 여야 3당이 협치의 첫 발을 뗐습니다.
바로 5.18 광주민주화운동 36주년 기념식 때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 가능성이 높아진건데요.
보훈처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관심이 쏠립니다.
동정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빗속에 열린 지난해 5·18 기념식.
합창단이 노래를 시작하자 김무성 문재인 전 여야 대표가 자리에서 일어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따라부릅니다.
[현장음]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 없이."
하지만, 국가보훈처는 이 노래가 북한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됐다며 합창단의 합창만 식순에 넣었습니다.
원하면 따라부르더라도, 공식 제창은 안 된다는 겁니다.
여권에서조차 문제점을 제기했지만,
[김무성 / 새누리당 前 대표]
"북에서 악용했다고 해서 우리가 이걸(임을 위한 행진곡) 못 부른다는 것은 이건 말이 안 됩니다."
박승춘 보훈처장은 국론분열을 이유로 버텼습니다.
야당은 이 문제를 청와대 회담에서 공식 제안했고, 박근혜 대통령은 국론 분열이 없도록 조치하라고 보훈처에 지시했습니다.
[우상호 / 더민주 원내대표]
"이 부분은 성과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저와 박지원 원내대표의 거듭된 주문에 답하신 것이라고 평가합니다."
여권 관계자는 "보수 진영의 여론도 중요하기 때문에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기념곡 지정 대신 제창 부활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보훈처는 내일 올해 5.18 기념식의 식순을 최종 결정합니다.
채널A 뉴스 동정민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