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 김용준 총리 지명자의 도중 하차.
박근혜 당선인은
좋은 사람 찾아내기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지요.
요 며칠
연일 국회 인사청문회의 제도 개선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여) 오늘 뉴스A의 두번째 이야기는
박 당선인이 지적한 문제가 무엇인지
설득력이 있는 지적인지
꼼꼼이 짚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남) 먼저 이현수 기자의 보도부터 보시고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리포트]
김용준 총리 지명자의 낙마사태 이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연일 인사청문회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습니다.
특히, 가족과 친인척 등
신상에 대한 과도한 검증을 경계했습니다.
"신상털기식 검증은 문제가 있다,
이런 상황에 누가 청문회를 하려고 하겠느냐"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신상 검증은 비공개로 진행하는 등
미국처럼 청문회를 이원화해야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8년 전엔 입장이 달랐습니다.
노무현 정부의 고위공직자 4명이
도덕성 문제로 중도 하차했던 시기.
야당인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근혜 당선인은
고위 공직자의 도덕성 검증을 특히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박근혜 / 대통령 당선인] (지난 2005년 4월)
"고위공직자 인사 파문의 또 다른 충격은 모두가 불법적인 부동산 투기 의혹에 연루되었다는 점입니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습니다."
결국 인사청문회법이 개정돼
2005년 7월부터 모든 국무위원들이 인사청문회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민주통합당은 "인사청문제도를 비판하는
박 당선인의 발언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며
"당선인의 '밀봉인사'가 문제"라고 비판했습니다.
채널A 뉴스 이현수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