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민주통합당의 모바일 투표는
참여신청만 하면 누구든 휴대전화를 통해 정당의 공직 후보 경선에 간편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하지만 도입 이후 말썽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박민혁 기잡니다.
[리포트]
민주통합당의 전신인 대통합민주신당은 2007년 대선후보 경선을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진행했습니다. 이 때 정당사상 처음으로 모바일투표 선거인단을 24만여 명 모집해 경선 흥행의 불씨를 지폈습니다.
하지만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이른바 ‘박스떼기’ 대리접수, 종이당원ㆍ유령당원 논란을 빚고 손학규 후보는 불만을 제기하며 사흘간 칩거에 들어가기도 했습니다.
민주당이 4·11총선 후보 경선 때 일부 지역에서 모바일 국민경선을 도입하면서 다시 동원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광주 동구에서는 동원에 가담한 전직 동장이 자살하는 사건도 있었습니다.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의 서울 관악을 야권후보 단일화 여론조사에선 ARS 여론조사 연령 조작이 드러나 통진당 이정희 후보가 사퇴하기도 했습니다.
총선후 민주당 대표 경선에서도 친노의 좌장 격인 이해찬 후보가 현장 대의원 투표에서 지고 있다가 모바일 투표에서 이기는 바람에 막판 역전하자 김한길 후보는 “당심과 민심의 왜곡”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진보 성향의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는 이와 관련해 “모바일 투표는 나쁜 의미에서의 혁명적 변화”라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채널 A 뉴스 박민혁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