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북한이 국제사회를 향해
'선전포고' 운운하며
칼날을 세웠습니다.
장거리 로켓 발사 예고에 이은
북한의 도발 위협에
미국 의회는
강도 높은
금융 제재까지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정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북한은 다음주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북핵과 관련된 성명이 나올 경우 이를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21일 북한조선중앙 TV
"북핵 문제를 회의 의제로 상정시키려는 시도가 표면화되고 있다. 우리에 대한
그 어떤 도발도 선전포고로 간주할 것이다."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계속되면서 미 의회에서는 대북 압박 수단 논의가 활발합니다
에드 로이스 하원의원은 채널A와의 전화인터뷰에서 ‘BDA식 대북 금융제재’ 재개 방안 등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BDA란 마카오의 방코델타아시아은행을 지칭하는 것으로 미국은 2005년 이 은행을 북한의 돈세탁 창구로 지목하고 거래중단 조치를 취했습니다.
당시 북한의 자금줄을 막아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 등에도 상당한 타격을 준 금융 제재였지만, 2년 뒤 핵협상 진전을 이유로 해제된 바 있습니다.
(전화인터뷰)에드 로이스 미 하원의원
“BDA나 기타 북한의 불법 거래창구역할을 하는 다른 은행 계좌를 동결 조치해야 합니다. 북한에 대한 실질적인 압박 수단이 될 것입니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북미간 합의된 국제원자력기구 IAEA 핵 사찰과 대북 영양지원에 대한 회의론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화 인터뷰) 에드 로이스 미 하원의원
“문제는 북한 내 모든 우라늄 농축 시설에 대한 사찰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한국어가 가능한 대북영양지원 모니터링 요원들 또한 현장에서 최종 분배과정까지 관찰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BDA식 대북 금융제재는 상당한 준비 기간이 필요한데다 북한은 당장 광명성 발사를 강행할 것으로 보여 미 행정부의 고민은 커지고 있습니다.
국무부는 북한이 20일 언급한 IAEA 사찰단 수용 의사에 대해 "파견 문제를 IAEA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채널 A 뉴스 김정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