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요즘 여야 모두가 연말 대통령 선거에 나갈 후보자를
언제, 어떤 방식으로 뽑을 지를 놓고 시끄럽다고 합니다.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 당헌, 당규에
대선 후보 경선 방식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국민적 관심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고쳐야 한다는 겁니다.
새누리당은 대의원 20%, 당원 30%, 국민 30%, 여론조사 20%를
반영하는 방식에서 100% 일반국민투표로 뽑는 완전국민경선제로
바꾸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국민경선이나 국민참여 경선은 이미 명시하고 있어
구체적인 방식을 놓고 설왕설래하고 있는데요.
특히 지난 당 대표 선거의 승패를 가른 모바일 투표의 결과가
당원이나 일반 시민의 뜻과는 다르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개선책 논의가 한창입니다.
후보선출 일정은 새누리당이 대선 120일 전인 8월 21일,
민주당이 대선 180일 전인 오는 22일까지 대선 후보자를 선출하도록 돼있으나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조정할 계획입니다.
양당 내부에서 후보경선 룰을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뜨거운 샅바싸움을 김지훈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새누리당 지도부는 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등 대선후보 경선 룰을 논의할
기구를 어디에 설치할 지를 두고 계파별로 이견을 보이고 있습니다.
친 박근혜계는 최고위원회 산하에 둬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 이혜훈/새누리당 최고위원(친박)]
"당 모든 중요한 결정은 지도부 최고위가 하도록 돼있다. 지도부 마음에 안드니 중대한 사안 정하는 별도 기구 만들라는 주장이다"
비박측은 친박 일색인 최고위 산하에 두면 중립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경선 불참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야당과의 완전국민경선제 협상에도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김용태 의원]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와 대선후보 경선룰을 정하는
여야 협상에 나설 것을 정식 요청한다"
민주통합당도 여야 동시 경선을 치르자며 새누리당 친박계를
압박했습니다.
[인터뷰:박용진 민주당 대변인]
"역선택이 그렇게 걱정된다면 민주통합당이 이야기하듯 한날 한시에 국민경선을 실시하도록 선거법 개정을 하면 된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야권 단일후보 경선을 위해 안철수 서울대
교수를 향해 빠른 결단을 촉구했습니다.
[인터뷰: 이해찬/민주당 대표]
"원샷이 될 수 있으면 좋은데..안 교수의 입장만 바라보고 기다릴 수는 없는 일이거든요"
이 대표는 민주당 당내 경선이 시작되는 7월 중순까지
안 교수가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 2단계 경선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민주당은 또 대선 경선에서 모바일투표를 할 지를 두고도
논란을 이어갔습니다.
채널A 뉴스 김지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