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인선 문제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데요.
‘보안 인사’의 폐해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5년 전 이명박 대통령이
‘보은 인사’ 문제로 골머리를 앓던
모습과 비슷합니다.
박소윤 기잡니다.
[리포트]
고려대 출신과 소망교회 인맥, 영남 출신을 뜻하는
‘고소영 인사’와 대선에 참여한 사람을 챙겨주는 '보은인사'.
이명박 정부 초기 내각의 인사를 일컫는 말로,
이춘호·남주홍·박은경 장관 내정자들이 지명됐지만
각종 의혹으로 줄줄이 낙마했습니다.
5년이 흐른 지금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원회에서도 인사논란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철저한 보안만을 중시하다
청와대 등 정부의 검증시스템마저 회피하면서
사전 검증이 부실하다는 비판에 직면한 겁니다.
지금까지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와
김용준 국무총리 지명자가 잇따라 낙마했습니다.
[인터뷰 : 정우택 / 새누리당 최고위원]
“서류 검증만으로도 제대로 걸러질 수 있는 사안인 만큼 당선인 측에서 사전 검증 너무 소홀히 하지 않았냐는 지적"
전문가들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보안인사’ 와
이명박 정부 초기의 ‘보은인사’ 논란이 유사하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이봉규/시사평론가]
"인사시스템이 잘 안 돼 있어서 잘 안 되는 것입니다. 대통령 후보 출마서부터 나는 이런 사람과 같이 가겠다고 준비해야 하는데..."
곧 발표될 대통령 비서실장과 내각 인선도
‘보안 인사’ 원칙으로 사전 검증을 부실하게 해
또 다른 낙마자가 나오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박소윤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