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논란이 뜨거운데요.
문서폐기 공방은 2008년에도 있었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 직전
참여 정부의 중요 문건 자료를
이명박 정부에 넘겨주지 않고 몽땅 가져가면서
일부 자료들은 폐기했다는 건데요.
그 당시 무슨 일이 있었는지
김지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노무현 정부는 퇴임을 앞두고
2007년 5월 작성한
분류표에 따라
극히 일부만 이명박 정부에 넘겨줬습니다.
재임시 생산한 240만 건의 각종 기록물 중
이명박 정부에 전달된 건 1만 6000건 뿐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넘긴 문건도 ‘치약은 어떻게 짜야 한다’는 식의 매뉴얼이 고작이었다“고 밝혔습니다.
노 전 대통령측은 통치자료를 갖고 가기 위해
청와대 내부 전산망인 이지원 시스템을 통째로
봉하마을로 가져갔습니다.
이 과정에서 유령회사를 내세워
봉하마을 사저에 별도의 이지원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2007년 12월에는 청와대가 정부 부처의 각종 기록물을 컴퓨터 파일 형태로 집중 수집했고,
노 전 대통령의 퇴임을 열흘 앞두고 기록물 반출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청와대는 또 자체 조사를 통해
노 전 대통령이 "가져갈 것은 가져가고, 없앨 것은 없애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동영상도 확보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문서 파기도 조직적으로 이뤄졌다고
이명박 정부 청와대가 주장했습니다.
노 전 대통령 측은 기록물 반환 과정에서도
국가기록원과 끊임없이 마찰을 빚기도 했습니다.
채널A 뉴스 김지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