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18대 대통령선거 재외국민 투표 신청이 마감됐습니다.
전체 재외국민의 10% 수준이었습니다.
재외국민 선거가 처음 도입된
지난 4월 총선 때보다는 신청자가 늘었지만
그래도 신청자가 너무 적어
또다시 실효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원주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외국민 투표가 가능한 해외 거주 국민은 총 223만여 명.
이 중 대통령 선거에 투표하겠다고 신청한 사람 수는
21만7000명으로 전체의 9.7%에 해당합니다.
첫 시행 때인 지난 4월 총선 때의 5.6%보다는
4.1%포인트 높아졌지만
선관위가 내심 기대했던 ‘총선의 두 배’보다는
여전히 낮습니다.
4월 총선 때는불가능했던
가족 대리 신청, 이메일 접수 등이 이번엔 허용됐지만
투표는 여전히 수십~수백km씩 떨어진
공관에 가서 해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해외 거주자들이 투표를 꺼리고 있다는 겁니다.
[신우영 서기관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권력을 행사할 수 없는 외국 영토에서 이루어지는 재외국민 선거에서
(온라인·우편 투표 등) 그런 방식을 도입한다면 바로 선거부정 문제가 드러날 것이고…”
이번 대선에서 재외국민 투표를 치르기 위해
쓰이는 돈은 총 212억 원.
해외 국민들의 투표권을 보장하면서도
효율적인 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원주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