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필요하다, 아니다.
여야 정당이 총선에 출마할 후보를 공천할 때
여성에게 일정 비율 이상의 후보 자리를
의무적으로 할당한다는 규정을 놓고
논란이 많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설 기자가 전합니다.
===============================================
올 4월 총선에서 민주통합당이
전체 지역구의 15%,
지역구 245곳 중 37곳 이상을
여성으로 공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치에서 아직 소수인
여성을 배려하겠다는 건데
즉각 반발이 나왔습니다.
[녹취:김두수/민주통합당 전 사무총장]
“기성 여성정치인들이 한 번 더 국회의원을 하겠다는
기득권 지키기에 다름 아니다.
시중에 나오는 여성 낙하산이 아니고 무엇인가.”
새누리당도 전체 지역구 가운데 30%를
여성으로 공천하도록 돼있는 당헌당규를 제대로 지키자며
여성 정치신인에게 20%의 가산점을 주도록 했습니다.
시민들 의견도 제각각입니다.
찬성하는 이들은 아직은 부족한
여성의 기회를 근거로 들고,
반대하는 쪽은 역차별을 부르는
무리수라고 지적합니다.
[시민1: 김원기, 55세]
“여자들은 경쟁도 않고 15% 주는 건 너무 불공정하지 않을까요?”
[시민2: 이석구, 37세]
“아직은 여성 배려가 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보면 역차별이지만 기회균등으로 본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여성들이 이미 사회 곳곳을
누비고 있으므로 혜택 없이
능력만을 잣대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시민3:안효진, 21세 ]
“여자가 위치가 높아진 게 사실인데
그런 걸로 15% 더 주겠다고 하면서 여자 배려해주는 척?"
[시민4:김대호, 29세]
“고정시키기 보다는 능력 있는 분들이
지금 여성 중에서도 많지 않습니까.
투표하시는 시민들이 알아서 선택할 몫이라고 생각하고요.”
전문가들도 의견이 엇갈립니다.
반대하는 측은 여성 후보군이 부족하면
오히려 불공정 게임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녹취:박원호/서울대 정치학과 교수]
기계적인 적용은 곤란하지 않은가 하는 생각은 있거든요. .”
찬성 측은 여성 권한 신장을 위해선
초기 비용을 치러야 한다고 반박합니다.
[녹취:홍승아/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초기 과정에서 딛고 넘어서야 할 하나의 초기비용,
이런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채널A 뉴스 이설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