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오늘부터 꼭 6개월 뒤 이 시간에는
18대 대통령 선거의 개표가
한창 진행되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대선판은 아직도
짙은 안개에 휩싸여 있고,
여야는
경선 규칙조차 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마 위의 정치,
이일주 기잡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예선전을 치를 선수들이 게임의 규칙을 놓고
힘겨루기만 거듭하고 있습니다.
[김용태]
"완전국민경선제를 정하는 여야 협상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윤상현]
(완전국민경선제)국민적 관심 불러일으키고 낮은 지지율 만회하기 위한
공학적 시도로 보인다.
민주통합당은 자체 선수 선발보다는
야권 유력주자인 안철수 서울대 교수와의 단일화 경선에
더 목을 매는 듯한 모습입니다.
[문성근]
"안철수 교수께 말씀드립니다. 모바일 완전국민경선 방식이면 어떤 후보에게도 유불리없이 전국민의 뜻이 가장 정확히 반영될 것이며..."
유력 주자인 박 전 대표는 출마 선언을 늦춰오다 다음 주 쯤
출사표를
던질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안 교수는 아직도 출마를 저울질 하고 있습니다.
무대에 오르는 시간을 최대한 늦춰
언론의 검증과 경쟁자들의 예봉을 피해보겠다는
계산 아니냐는 비판을 낳고 있습니다.
[인터뷰: 황태순/위즈덤센터 수석위원]
"유권자, 국민들 입장에서는 제대로 검증도 해볼 시간을 갖지 못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떻게 보면 불행한 일이고."
오리무중의 대선 구도 속에도 열세인 후보자들의
'강자 때리기' 강도는 점차 세지고 있습니다.
[이재오]
"국방에 대해서 경험하지 않은 단순히 여성이라는 이유로 그런 리더십을 갖기에는 아직 나라 안에 매우 어려운 사정이 많다.
'여성 대통령 불가론'에 박 전 대표도 즉각 응수했습니다.
[박근혜]
"21세기에도 그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있나요?
안 교수측도 최근 민주당 주자들의 잇따른 상처내기에
”누구에게 도움이 되는 것인지 생각하기 바란다“며
이례적으로 논평을 내놨습니다.
채널 A 뉴스 이일줍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