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캠프마다 ‘폴리페서’…수업은 어떻게 진행될까?

2012-10-25 00:00 정치,정치,사회,사회

[앵커멘트]

선거철마다 교수들이
툭하면 강의를 빼먹고
정치판에 뛰어들자
정치인과 교수란 뜻을
합성한 '폴리페서'란 말까지 생겼습니다.

이번 대선에도
많은 대학교수들이
각 후보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데요.

이 교수들이 맡은 강의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요?

강은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세 후보의
대선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교수들은 학교수업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캠프 3곳에 참여한 교수 15명이 재직 중인
수도권 4년제 대학 10 곳을
확인해 본 결과, 대부분
수업을 충실히 하고 있었습니다.

[J교수 수강생]
“꾸준히 수업 들어오시고 열심히 하시는데...”

[K교수 수강생]
(휴강하신 적 있었어요?) "그때만요, 추석 때"
(그때 말고는 없는거죠?) "네"

휴강을 밥먹듯 했던 폴리페서가
과거와 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교수의 본분이 정치 활동보다
우선되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전화인터뷰 : D대학교 관계자]
“교수로서의 의무 사항이니까요.
맡은 수업들을 하는 건 기본적으로
자기 담당수업을 다 하고
나머지 시간에 (정치)활동할 수 있는 그런 사항일 테니까...”

휴강 횟수가 인사고과에 반영되고
부실한 강의에 대한
학생들의 눈초리가 따갑다는 점도
교수들의 책임감을 자극했습니다.

[전화인터뷰 : D대학교 관계자]
“행정실 쪽에서 전부 다 수업이 되나 안 되나
체크를 해서 결강나면 결강 난다고 보고가 들어오고...”

그러나 무엇보다 기존 폴리페서들이
정치권에서 눈에 띄는 역할을 많이 못한다는
점이 교수들의 막무가내식 정치참여에
제동을 거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