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체결을 불과 한 시간 앞두고 연기된
한일 정보 보호 협정.
그 앞날은 과연 어떻께 될까요.
정부는 국회에 설명하고
문제를 처리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협정 체결 자체가 어려울거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김정안 기잡니다.
[리포트]
정부는 이번 정보보호협정에 대해 국회에서 논의하는 절차상의 문제만 남아 있다는 입장입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채널A와의 통화에서
“국회 상임위가 1,2주 내로 구성될 것으로 본다"면서
"관련 내용을 설명한 뒤 바로 협정에 사인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도 어젯밤 겐바 일본 외무대신에게 전화를 걸어 이 같은 내용을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고 외교부 측은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야당은 정부가 아직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며
"협정 완전 철회"와 함께 외교안보 라인의 경질을 관철시키겠다고
벼르고 있습니다.
(싱크)박용진 / 민주통합당 대변인
“국회가 개원한 만큼 외통위와 국방위를 통해서 책임 추궁에 힘을 싣도록 하겠다.”
여당 역시 여론의 거센 비난을 의식한 듯 "국민이 확실히 이해한 상태에서 결론을 내야할 것"이라는 유보적인 입장입니다.
SNS를 중심으로 인터넷에서도 정부의 안이한 태도를 비판하는
여론이 들끓었습니다.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내용의 방위백서를
다음 달 발표하고, 8월 광복절 행사 등을 앞두고 있어
반대 여론은 더 확산될 전망입니다.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