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19대 총선에 나섰던 정당과 지역구 후보자가
9백억원 가까운 선거 비용을 나라 금고에서 되돌려받았습니다.
그런데 비례 대표를 가장 많이 배출한 새누리당보다
부정 경선 논란에 휩싸인 통합진보당이 더 많은 돈을 챙겼습니다.
도대체 어떻게 된 걸까요?
송찬욱 기잡니다.
[리포트]
새누리당 46억5천8백만 원, 통합진보당 49억5천9백만 원.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보전받은 비례대표 선거비용입니다.
비례대표 당선자가 25명인 새누리당은 1인당 1억 8천여만 원을,
6명인 통진당은 4배가 넘는 8억2천여만 원을 돌려받은 셈입니다.
공직선거법에 따라 비례대표 당선인이 1명이라도
나오는 당은 그 숫자에 관계없이 보전상한액
51억4천1백만 범위내에서 지출했다고 인정되는 금액을
전액 보전해주도록 돼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배상완 / 중앙선관위 정치자금과]
"비례대표 선거에 있어서 후보자 수가 몇 명이든,
당선인이 몇 명이든 선거운동 방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정당별로 차별을 둘 수 없습니다."
하지만 공천자와 당선자 수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각 당에
똑같은 기준을 적용하는 게 적절한지를 두고 논란이 예상됩니다.
[전화인터뷰: 홍성걸 /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
"상한선을 정하더라도 당선된 의원 수에 비례한다든가,
1인당 얼마로 제한한다든가 해서 각 정당이 선거비용을 아껴쓰도록…."
지역구 후보자 중 2억3100만원이라는 가장 많은 선거비용을
보전받은 이는 18대 국회에서 최루탄을 본회의장에서 터뜨린
통진당 김선동 의원으로 드러났습니다.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