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어제 TV토론회에서 문재인, 안철수 후보는
주요 정책에 시각차를 보이면서
논쟁을 벌였는데요.
단일화가 되더라도 이같은 정책조율 문제는
선거공조 여부에서 간단치 않은
숙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설 기잡니다.
[리포트]
두 후보가 가장 큰 이견을 보인 건 외교·안보 분야입니다.
금강산 관광 재개와 남북 정상회담 추진과 같은
남북관계 개선이 먼저인지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가 먼저인지를 놓고 대립했습니다.
[안철수 무소속 후보]
"북한의 재발 방지 있어야 금강산 관광 재개할 수 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북한 쪽에 선행 조건을 달고 있다. 그러면 이명박 정부와 다를 바 없다"
기존 순환출자의 의결권 제한과 같은
재벌의 지배구조 관련 정책을 놓고도 이견을 드러냈습니다.
문 후보와 이견차를 보인 안 후보의
외교·안보, 재벌 관련 정책은
오히려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정책과
비슷합니다.
두 후보는 새정치 공동선언을 통해 이미 합의한
국회의원 정수 조정 문구를 놓고도 정면 충돌했습니다.
[문재인/민주당 대선 후보]
“'조정'이 '축소'를 의미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잘못 보고받은 게 아닙니까.”
[안철수/무소속 대선 후보]
“조정을 한다면 늘리거나 줄이거나 할 텐데 늘리지는 않을 것입니다.”
시각차를 좁히지 못할 경우 단일화에 성공하더라도
공동의 가치와 노선을 내세운 두 후보의 연대에
갈등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채널에이뉴스 이설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