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민간인 불법 사찰을 배후 조정했다는
의혹 제기에도 침묵을 지켜온 청와대가
역공에 나섰습니다.
2600여 건의 사찰 문건 가운데 80%이상이
노무현 정부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야당에 정치공세를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계속해 이용환 기잡니다.
[리포트]
“80%가 넘는 2,200여건은 이 정부가 아니라
한명숙 현 민주통합당 대표가 총리로 재직하던
노무현 정부에서 이루어진 사찰 문건입니다.”
민간인 사찰을 지시한 배후로 지목됐던 청와대가
관련 보도 사흘만에 반격에 나섰습니다.
최금락 대통령 홍보수석비서관은
현대차 전주공장 2교대 근무전환 동향 파악 등
노무현 정부 당시 구체적인 사찰 내용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현 정부에서 조사한 문건은
400여건으로 대체로 제목과 개요 정도만 있고
실제 문서 형태로 된 문건은 120건 정도에
불과하다고 말했습니다.
그 나마 이 가운데
범죄 혐의가 인정된 건 2건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내사종결 처리된 사안이라며
민주통합당에 정치공세를 중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아무리 선거를 앞두고 있더라도 사실관계를 왜곡해서
이런 방식으로 정치공세를 하는 행위는 즉각 중단하기를 촉구합니다.”
청와대는 정치권의 특검 요구는
원칙적으로 수용하지만
권재진 법무부 장관의 사퇴는
수사가 진행되고 있어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수사 결과 책임질 일이 있으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책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청와대의 반격에 민주통합당은
후안무치한 발목잡기라고 맞섰습니다.
“청와대가 밝힌 노무현 정권에 책임 떠넘기기는
부도덕한 정부의 후안무치한 발목잡기입니다.”
한편 청와대 배후 의혹을 처음 제기한
kbs 새 노조는 불법 사찰이 과거 정부때
이뤄졌는지 여부를 다시 살피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부분 2008년 이후 거라고 보고
봤는데
그전 거라고 하니 다시 한번 보라고 했어요"
청와대의 반격으로
정치권의 민간인 불법 사찰 공방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이용환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