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집값이 떨어지다 보니,
집을 팔아도 대출금은 커녕
전세 보증금을 내 주기도 어려운
'깡통 주택'이 늘고 있습니다.
한국판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이어지는 건 아닌지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혜진 기잡니다.
[리포트]
한 때 시세가 7억 원이 넘었던 이 아파트의 주인은
아파트를 담보로 7억 원을 빌렸습니다.
하지만 집값은 3억 원대로 떨어졌고
대출해 준 금융권은 물론
이 집에 반전세로 살던 세입자도
대출금이나 보증금을 못 받게 됐습니다.
이 대형 단독주택은 집주인이 분양가 19억 원 가운데
14억 원을 금융권에서 대출했지만
이후 집값이 급락하고 빚을 못갚자 경매에 들어갔고,
은행은 9억 원만 회수하는데 그쳤습니다.
대출금과 전세보증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70%가 넘는 이른바 깡통주택은
전국적으로 36만 가구가 넘습니다.
이처럼 집을 팔아도 빚을 다 못 갚는
깡통주택이 늘면서 집주인이 떠안은 부실의 폭탄은
세입자로, 또 금융권으로 넘어가 경제에 큰 부담이 됩니다.
[인터뷰-김건우/LG경제연구원 연구원]
"금융기관에서 자산을 회수할 수 있는 여력이
부족해지고 금융기관 자체의 역할이 멈추게 되면서
경제 전반의 자금 융통이 중단되고"
불황의 중심에는 집만 가졌거나
집마저 날리게 생긴 빈곤층이 있지만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는 것 말고는
근본 대책이 없는 상황이어서 불안감은 커지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정혜진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