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日 15명 vs 韓 0명…과학 분야 노벨상 전무한 이유

2012-10-10 00:00 사회,사회

[앵커멘트]
오늘로써 노벨과학상 시상이
마무리됐습니다.

이번에도 이웃 나라 일본은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했죠.

우리나라에서는
노벨과학상 수상은 언제쯤 가능할 걸까요.

이정연기자입니다.


[리포트]
"연예인보다 과학자가 필요합니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일본의 과학자가 타면서
일본은 지금까지 15명의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했습니다.

이 가운데 11명은 2000년 이후 수상잡니다.

원동력은 순수과학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였습니다.

[야마나카 교수]
"정부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아 연구를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이라는 나라가 노벨상을 수상했다고 생각합니다."

일본과 미국이 기초과학분야 연구에 지원한 돈은
각각 우리나라의 5배, 12배에 달합니다. /

우리 정부도 지난해부터
20~30대 신진 의과학자에게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는 등
노벨상 지원 정책의 걸음마를 뗐습니다.

[이덕환 교수]
"알맹이를 빼두고 제도와 체제를 베껴오는 데 급급합니다. 우리 과학자들이 적응할 수 있는 제도와 조직을 만들어야 합니다"

기초 과학을 외면하는 이공계 기피 현상도 심각합니다.

2009년부터 3년 간 전국 대학의
이공계학생 자퇴생만 해도 약 6만 명이나 됩니다.

[강민경]
"고소득 보장될 수 있고 일자리 있는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옮기는 학생 많습니다"

아이들이 다시 과학자의 꿈을 꿀 수 있는
사회적 풍토가 마련되지 않는한
한국 과학기술계의 노벨상 수상은 여전히 요원해보입니다.

채널A 뉴스 이정연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