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돌아온 풍각쟁이’ 문화계는 지금 1930년대

2012-06-07 00:00 문화,문화

[앵커멘트]

80년 전
대중문화,
어땠을까요?

요즘 문화계가
1930년대를
주목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예술가들이
해석하는
그 시절을

김범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효과음]
“오빠는 풍각쟁이야 머~”

비음 섞인 추임새가
매력적인 1930년대 유행가는
80년이 흐른 오늘, 이렇게 바뀌었습니다.

[효과음]
“오빠는 풍각쟁이야 머~”

이 노래를 작곡한 김해송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예술가들이 뭉쳐 헌정 음반을 냈습니다.

[김희성]
"어려울 거다. 관객들과 소통 안 될 거다 생각했는데 굉장히 재밌고 가사 뜻도 알아들을 수 있다는 말 듣고 즐겁게 뛰어든 것 같아요.”

[효과음]
“콩칠팔새삼륙 하지 말고 어서 가요!”

남의 일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떠든다는
30년대 초 유행어는 그대로
뮤지컬 제목이 됐습니다.

두 여성의 연애 실화를 배경으로 한 이 작품엔
당시 모던 보이, 모던 걸들이 나옵니다.

[신의정]
“지금도 소위 ‘허세’ ‘된장’ 이런 것 있잖아요. 그런 게 너무 비슷하던데요.”

[화면전환]
1930년대는 연극부터 전시까지
다양한 문화 분야에서 나타납니다.

[김범석]
2012년에 1930년대 문화가 주목 받는 이유는 뭘까.
일제 강점기, 시대는 암울했지만
해외로부터 문화가 들어오면서
다양한 대중문화가 꽃필 수 있었다 말합니다.

[윤중강]
“서양에서 들어온 것을 차별 없이 대했고… 그런 것이 지금 사람들에게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감각적인 디지털 시대,
'온고지신' 바람이
대중문화계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