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8급 공무원이 3년여 만에 76억 원을 횡령하는 동안
아무도 몰랐다는 것도 놀라운데,
횡령액이 최대 100억 원에 이를 수 있다는 얘기까지 나옵니다.
스튜디오에 나온 취재기자와 좀 더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우정렬 기자.
[리포트]
Q1 : 구속된 김 씨가 횡령에 나선 동기가 아내의 사채빚 때문이라는 얘기가 들리던데요, 도대체 빚이 얼마나 되길래 나랏돈에 손 댈 생각을 하게 된 겁니까?
Q2: 수십억 원을 빼돌린 김 씨가 철저한 이중생활로 동료들의 눈조차 깜쪽같이 속였다면서요?
Q3: 방금 전 나오기는 했는데, 범행 수법이 구체적으로 어떤 겁니까?
Q4: 아니 관리감독이 얼마나 허술했으면 8급 공무원이 3년여 만에 76억 원을 횡령하는 동안 아무도 몰랐단 말입니까?
Q5 : 김 씨 단독으로 횡령했다는게 믿어지지를 않는데요. 공범 여부에 대해서는 결과가 나왔나요? 다른 지자체에서도 비슷한 횡령 사건이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드는데요.
A1.
-네, 이번에 구속된 김 씨의 아내는 고리의 사채를 빌려서 주변 지인들에게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돈놀이’를 해 왔는데요. 몇몇 사람들에게 빌려준 돈을 8억 원 정도 떼여서 사채업자에게 빌린 돈을 갚지 못하고 이자가 이자를 부르면서 2년여 만에 수십억 원의 빚을 지게 됐다고 합니다.
A2
-네. 취재결과 김 씨는 두 얼굴의 사나이였습니다. 함께 근무했던 여수시 공무원들의 말에 따르면 김 씨는 과묵하고 성실한 공무원의 전형이었다는데요. 평소 술도 마시지 않고 어울리는 친구도 별로 없었다고 합니다. 시청에 출근할 때는 소형차만 타고 옷차림도 수수하게
하고 다녔습니다.
-하지만 검찰 조사결과 최고급 SUV를 비롯해 차량을 3대나 샀고, 자신이 사는 아파트 단지에 장인과 처형, 처남 등의 집을 구입해 준 걸로 나타났습니다. 그래선지 김 씨의 범행이 드러난 여수시 동료 직원들도 ‘믿는 도끼에 발등을 찍혔다’. ‘고양이에게 생선을 맏긴 셈’이하며 배신감을 토로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A3
-네, 76억 원 중 무려 40억 원 정도가 자신의 급여를 부풀리는 대담한 방식으로 횡령이 됐는데요. 급여관리프로그램에 접속해 어떤 때는 자신의 한 달 급여에 2억4천만 원을 추가료 입력하기도 했는데요. 이 돈을 소득세와 주민세 환급분 항목에 써 넣었다가 돌려 받는 방식을 쓰기도 했고요.
-비슷한 방식으로 여수시 동료 직원들의 소득세와 주민세도 실제 납부액보다 부풀린 뒤 이를 과오납 세금으로 차명계자를 통해 환급받는 방식을 쓰기도 했습니다.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시에서 발급한 여수시상품권을 횡령 도구로 이용하기도 했는데요. 상품권을 받고 물건을 판 가맹점주에게 판매대금을 지급하는 것처럼 가짜로 서류를 꾸며 자기 주머니를 불리기도 했습니다.
A4
-네 수사과정을 통해 회계 시스템과 관리감독에 커다란 구멍이 확인됐습니다. 김 씨가 공문을 위조하는 등 수법이 치밀하기도 했습니다만 상급자의 감독이나 회계관리 시스템이 허술했다는 겁니다.
-김 씨가 다른 부서원의 직인을 찍어야 할 자리에 자기 직인을 찍었는데도 상관이 알아채지 못한채 결재하기도 했고요. 연말연시 외에는 거액의 주민세, 소득세 환불될 일이 없는데도 상관의 결제가 이뤄진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관련 부서사이에도 자료가 잘 공유되지 않아 타부서에서 횡령사실을 알아챌 수 없는 구조적 문제도 있었습니다.
-또 지방 회계라도 세입, 세출에 관한 부분은 ‘E-호조’라는 전산시스템을 사용하는데, 김 씨가 담당한 세입, 세출 외 항목이라 이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늘 얼굴을 맞대는 지역 사회 공무원 사회의 믿어주는 문화도 허점이었습니다. 여수시의 시금고를 맡은 농협 직원이 세금 환급액이 특정인의 계자에 왜 이리 많은 것을 발견하고 김 씨에게 문의했을 때 다시 여러 명의 대상자에게 분배할 거라는 김 씨의 거짓말만 철석같이 믿은 문제점도.
A5
-오늘 검찰이 발표한 건 중간수사결과인데요. 김 씨가 2002년부터 2006년에도 회계부서에서 일을 한 적이 있는데요. 이 때도 횡령이 있지 않을까 검찰은 의심하고 있습니다만, 문서 보존기한이 지나서 폐기돼서 추가 횡령액을 찾는데 애를 먹고 있습니다.
-3년여간 행정사무감사와 의회결산감사 등 총 10여차례의 감사를 받고도 한 차례도 문제가 된 적이 없었다는 점도 문제. 부정을 묵인하거나 금품을 상납받은 사람이 없는지 꼭 가려내야 할 일입니다.
-김 씨의 사건에 대한 검찰 조사가 시작된게 감사원 감사에서 20억 원 가까운 돈 횡령 혐의가 불거지면서 시작된건데요. 감사원 검사 결과 경북 예천에선 공유재산을 허위로 매각하는 수법으로 46억여 원을 횡령한 직원이 적발되는가 하면, 완도군 공무원도 5억 5천 만원, 통일부 공무원도 2억 9천여 만원을 횡령한 사실이 발견되는 등 공직기강이 엉망이었습니다. 감사원도 다음달 초부터 고강도 특별 감철에 들어간다고 하니 수사결과를 지켜볼 일입니다.
우정렬 기자 수고했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