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총리실 전방위 사찰/공직윤리지원관실 직원 절반 ‘영포 라인’

2012-03-30 00:00 정치,정치

[앵커멘트]
사찰 문건이
이렇게 대규모로 공개되면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은
과연 뭘했는가...하는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습니다.

지원관실이 어떻게 태어났고
운영돼왔는 지,
계속해서 윤영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인 지난 2008년 5월.

정국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로 촉발된
'광우병 파동'으로 요동쳤습니다.

정부는 부랴부랴 총리실 산하에
'공직윤리지원관실'을 만들었습니다.

민심을 파악하고
흐트러진 공직기강을 바로 세운다는 취지였습니다.

[인터뷰 : 여권 관계자]
"불법적으로 민간인을 조사하겠다는 목적은 아니고..공무원들이 시위에 참여하고 이런 게 드러나다 보니까..정권안보가 곧 대한민국의 안보라고 생각하게 돼있는 거니까 그런 차원에서 아마 시작을 한 건데.."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에도 각각 사직동팀과 암행감찰팀처럼 공무원 사정을 위해 만들었다 논란이 된 조직이 있었습니다.

이영호 전 비서관도 비슷한 주장을 했습니다.

[인터뷰 : 이영호 /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
"공직윤리지원관실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시절에 존재했던 국무총리실 내 조사심의관실의 명칭을 바꾼 조직일 뿐입니다."

대통령령이나 국무총리 훈령이 정한 지원관실의 활동범위는
공직사회로 제한돼 있습니다.

그러나 지원관실이 민간인 신분인 김종익 KB한마음대표를 뒷조사하고 물러나게 한 사실이 알려지며 불법 사찰을 해온 꼬리가 밟혔습니다.

지원관실은 대통령의 측근 인사로 알려진
이영호 전 비서관의 지휘 아래 42명의 직원 중 절반 가까이가
경북 영덕과 포항 출신, 이른바 '영포 라인'으로 채워졌습니다.

이 때문에 지원관실이 '윗선'의 지시를 받아 활동했고
결과 역시 직접 보고됐을 거란 의혹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인터뷰 : 여권 관계자]
"13:54 (그러면 누구의 지휘를 받나?) 그거는.. VIP 직계라니까요. (비서)실장 정도는 다리가 될 수는 있었겠지만.."

공직자의 사정 업무의 중추에 해당하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을 거치지 않은 적도 많아 갈등을 빚어왔습니다.

[인터뷰 : 여권 관계자]
"13:23 민정수석 지휘를 안 받았기 때문에 문제가 된 거죠. 민정(수석실)은 손도 못댔어요."

결국 지원관실은 공직자를 넘어 국회의원과 기업인, 언론인에 이르기까지 전방위로 불법사찰을 벌이다 출범 2년 만에 간판을 내렸습니다.

채널A 뉴스 윤영탁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