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전-현 정권 통틀어 사찰문건 2600여 건”

2012-04-01 00:00 정치,정치

[앵커멘트]
문제는 전 현 정권에서 공직기강 확립이라는 명목으로 정치인과 노조, 언론계 인사 등에 대한 광범위한 사찰이 이뤄졌다는 겁니다.

사찰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고, 사찰조직은 어떻게 운영되고 바뀌어왔는지,

홍성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KBS 새 노조가 공개한 사찰 문건 가운데는
공직자가 아닌 민간인들이 다수 포함돼 있습니다.

청와대가
어제와 오늘
노무현 정권 때 청와대 하명으로 사찰된 내용이라며
공개한 자료에도
공직 기강과는 상관 없는 내용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정권 때 마다
광범위한 사찰을 통해
정권 보위에 이용하려는 목적의
정보 수집이 이뤄진 셈입니다.


하지만 양쪽은 사찰 문건 전체를 공개하진 않고 있습니다.

이명박 정부의 사찰 문건이 담긴 USB가 하나 더 있다고
밝힌 민주통합당이나
사찰 문건 2600여건 가운데 80%이상이 노무현 정부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밝힌 청와대나 사정은 마찬가집니다.


[인터뷰 : 임종룡 국무총리실장]
"작성 경위나 책임 소재 등이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사실 왜곡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정권 최측근들이 이들 조직을 직접 관리했다는 의혹도 제기됩니다.


[녹취 : 국무총리실 관계자]
“(노무현 정권 때는)정윤재라는 대통령 측근이 (민정2비서관으로) 와 있었기 때문에 거기가 힘을 썼고…”



이명박 정부 들어선
미국산 쇠고기 촛불집회
당시 박영준 대통령 기획조정비서관이
사찰팀 부활계획을 만들어
같은 고향 출신들을 통해
직접 관리해왔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녹취 : 국무총리실 관계자]
“(전 공직윤리지원관) 이인규 국장도 과거에 사정업무를 해봤다 하고, 그런데다가 (고향이) 포항이고 하니까 잘됐다 해서 오게 돼…”


채널A는 박 전 차관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차례 전화 접촉을 시도했지만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정보 수집에는 검찰, 경찰 뿐 아니라 전 부처가 동원됐습니다.

[녹취 : 국무총리실 관계자]
“전 부처에서 다 온다. 거의 10개 이상 부처에서 1~2명씩 이런 식으로 쭉 와서…”
 


총선을 앞두고 불거진
정치권의 이번 사찰 공방을 두고
전,현 정권을 대표하는 정당들이
총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여론전에 나선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홍성규 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