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온라인 사이트에서 회원 가입을 할 때면
누구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죠,
하지만 이렇게 수집된 주민번호는
각종 범죄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한데요,
정부가 이제서야
주민번호 수집과 이용을 제한하기로 했습니다.
김민찬 기잡니다.
[리포트]
2010년 554억 원. 지난해는 1019억 원.
주민번호 유출로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규모입니다.
유출된 주민번호가 이 같은 범죄에 이용된 겁니다.
때문에 정부가 무분별한 주민번호 수집과
이용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인터뷰/한순기/행정안전부 과장]
" 주민번호의 무단 수집이나 해킹으로 인해
오남용으로 국민들의 불안감이 급증하고 있어.. "
현재 주민번호를 요구하는 웹 사이트는 32 만개.
이 중 20만 여 곳의 웹 사이트에서 오는 8월부터는
주민번호를 기재하지 않아도 됩니다.
문의나 휴폐업 신고처럼
굳이 주민번호가 필요없는
1천 5백 여개의 민원서식에서는
올 6월부터 생년월일로 대체한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호적 등본 등 각종 행정 문서를 떼거나
본인 확인이 반드시 필요한 민원 접수에는
주민번호를 넣어야합니다.
정부는 지금까지 인터넷 사이트가 수집한 주민번호는
앞으로 2년 내에 모두 삭제하도록 했습니다.
채널A뉴스 김민찬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