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눈이 오면
어린이와 강아지들이 특히 좋아하지요?
오늘같이 눈오는 날
뛰어노는 강아지들 보면
혹시 발 시려울까봐
불쌍하게 여기시진 않는지요.
그런데 걱정하실 필요 없습니다.
이영혜 기잡니다.
===============================================
[리포트]
설원을 힘차게 달리는 개들.
차가운 눈을 밟고 꽁꽁 언 땅을 뛰면서도
추운 기색이 없습니다.
비결은 발바닥에 있습니다.
[스탠드업]
“개 발바닥에는 이렇게 두꺼운 지방층이 있어서
쿠션 효과와 함께 보온 효과도 냅니다.“
그런데 개가 동상에 걸리지 않는
이유가 또 있습니다.
최근 일본의 한 연구진은
개 발바닥에 특수한 열 교환 시스템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개 발바닥을 현미경으로 보면
모세혈관이 다발을 이루고 있습니다.
더 확대하면 동맥을 가느다란 정맥 혈관들이
감싸는 형탭니다.
동맥과 정맥은 열을 교환합니다.
심장에서 나온 따뜻한 동맥혈이
발바닥에서부터 올라오는 차가운
정맥혈을 데워주기 때문에
발바닥의 온도는 적당하게 유지됩니다.
[인터뷰 : 한호재/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추운지방에 사는 곰 같은 동물들도 추위에 대비해 온도 조절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북극 여우나 펭귄도
발바닥에 이러한 열 교환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남자의 고환도
같은 원리로
체온보다 2~3도 가량 낮은 온도를
유지합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