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北인권-임수경 폭언’ 질문에 이해찬 ‘버럭’

2012-06-05 00:00 정치,정치

[앵커멘트]

민주통합당 이해찬 의원이
북한 인권법은 내정 간섭이자 외교 상 결례라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잇단 질문을 받자,

생방송 도중 버럭 화를 내며 전화를 끊는 등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이 의원의 주장과 달리
북한 인권 문제는 국제 사회를 중심으로
갈수록 비중있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정호윤 기잡니다.






[리포트]

정치권의 북한인권법 제정 움직임에 대해
'외교적 결례'라고 언급했던 민주통합당 이해찬 의원.

또 다른 라디오 출연에서는 실효성 없는 압박 수단이라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인터뷰 : 이해찬 민주통합당 의원]
"그렇게 결의한다고 북한 인권문제가 해결이 되겠습니까. 실효성이 없고 그건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는 것이지"

이 의원은 민주통합당 임수경 의원의 폭언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예정된 질문이 아니라며 정색했고,

[인터뷰 : 이해찬 의원]
"이런 문제로 인터뷰를 하시면 원래 취지와 다르지 않습니까,
언론이 왜 이렇게 하십니까?

급기야 생방송 도중 일방적으로 전화를 끊었습니다.

[인터뷰 : 이해찬 의원]
"당대표 후보라도 취지에 맞는 질문을 하세요. 그래야 제가 답변을 하지요. (제가 다시 질문을 드...)"

논란이 일자 이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새누리당과 보수언론이 터무니없는 색깔공세를 하고 있다고 날을 세웠습니다.

[인터뷰: 이해찬]
"이명박 새누리당 정권이 구시대적 발상인 색깔론으로
신메카시즘을 유포하는 것에 대해 단호히 맞서 싸우겠습니다."

정부의 입장은 북한 인권법 제정이 외교적 결례라는
이 의원의 주장과는 전혀 다릅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북한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지 않다"며 이는 적절치 않은 지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국제사회도 탈북자 강제 북송 등을 계기로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깊숙이 개입하고 있습니다.

유엔인권이사회는 지난 3월 북한인권 결의안을 압도적 지지 속에 채택했고, 12월에는 총회에서 더욱 구체적인 결의안을 의결할
예정입니다.

미국은 지난 2004년부터 북한인권법을 만들어 4년마다 법안을 강화하고 있으며,
일본도 2006년 인권법을 제정했습니다.

[인터뷰 : 윤상현 새누리당 의원]
"옆집에서 술 취한 아버지가 아이를 심하게 패고 있습니다. 문을 따고 들어가서 신고도 하고 아이를 살려내야죠. 그것을 주거침입죄라고 할 수는 없지 않습니까"

현재 계류 중인 법안은 북한 주민을 돕기 위한
제도와 재정 기반을 만드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정호윤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