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감기 같은 가벼운 병에 걸려도
큰 병원만 찾는 분 많으시죠.
최근 정부가 이를 바로잡겠다고
나섰는데,
의료 현장은 아직도 헛바퀴가 돕니다.
우정렬 기잡니다.
[리포트]
감기같은 가벼운 병이나
고혈압, 당뇨 같은 만성질환 때문에
큰 병원을 찾으면
같은 약을 처방받더라도
약값이 비쌉니다.
경증 환자가 대형병원에
쏠리지 않도록,
약값의 30%였던 본인부담률을
지난해 10월부터
종합병원에선 40%,
상급종합병원은 50%로 올렸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제도 시행 이후
경증이나 만성 질환자가
대형병원에서 63만 명 줄고,
동네 병 의원은 79만 명 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이 제도에 대한 비판이
끊임 없이 나옵니다.
[인터뷰 : 안기종 /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상임대표]
"약값이 오르면 부자는 여전히 (큰 병원) 다니지만
약값이 부담스런 사람은 자기 의사와 상관없이
동네 의원에 가야하는 거죠"
만성질환자가
동네의원에 가면
진찰료를 10% 깎아주는
만성질환 관리제도
갈길이 멉니다.
기자가 동네의원을 찾아
만성환자 등록을 요구했더니
황당한 이유를 들며 회피합니다.
[녹취 : OO의원 의사]
"(만성환자로) 등록되면 불이익 많아요.
회사에서도 승진할 때 만성환자로 찍혀나와요.
승진 안돼요."
제도가 도입된지 4개월이 지났지만
동네 의원의 참여율은 50%도 안됩니다.
노인 만성질환자들에게
이 제도가 잘 알려지지 않은 것도 문젭니다.
대형병원 환자 쏠림을 막으려면
동네병원 의료의 질을 높이는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시급합니다.
채널A 뉴스 우정렬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