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내일 국회 정보위원회는 국가정보원에서
국정원을 상대로 한 국정감사를 하는데요,
남북정상회담 회담록의 열람 문제를 놓고
여야 간 충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내용을 직접 메모한
조명균 전 대통령 안보정책비서관은
채널A와 단독 인터뷰를 가졌지만
사실 관계 확인을 거부했습니다.
이용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양보 발언 의혹으로 불거진
NLL 논란이 회담록 열람 공방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내일 국정원에서 열리는 국정감사에서
새누리당은 회담록의 열람을
국정원 측에 강력히 요청한다는 계획입니다.
국정원에 보관된 회담록이
열람이 제한된 대통령기록물이 아니라 공공기록물이기 때문에
기관장의 판단에 따라 열람이 가능하다는 이유에섭니다.
[전화녹취: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 (새누리당 소속)]
“상임위에서 의결을 안 거쳐도 국정감사 질의하듯이
피감기관에 누구든지 요청할 수 있습니다.
피감기관이 들어주면 되거든요.”
민주당은 국정원에 보관된 회담록도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물과 마찬가지로 대통령기록물이라며
공개 불가 입장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당시 배석해 회담 내용을 직접 메모했던
조명균 전 대통령 비서관은
노 전 대통령 발언의 진위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확인을 거부했습니다.
[인터뷰: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미안합니다. 이번 논란과 관련해
어떠한 것도 확인해 줄 수 없습니다.”
회담 내용을 녹음했다는 사실은 인정했습니다.
[인터뷰: 조명균 전 비서관]
[(회담 내용을 녹음한 건 사실인가요?)
네. 그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내용을 확인해 줄 순 없습니다.”]
진실의 열쇠를 쥐고 있는 핵심 당사자가 확인을 거부함에 따라
회담록 공개를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이용환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