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이번 대선의 화두는 안철수 전 후보가 일으킨
'정치쇄신'입니다.
여야 할 것 없이 경쟁적으로 정치쇄신안을 내놨습니다.
그동안 내걸었던 쇄신안들, 얼마나 현실화됐는지 박창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안대희 새누리당 정치쇄신특위 위원장 / 지난달 26일]
"안철수 후보의 쇄신안도 적극적으로 보완, 반영해 국민의 새 정치에 대한 열망을 이룰 것 입니다."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 지난달 29일]
"마누라 빼고 다 바꾸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정당 혁신을 계속해 나가겠습니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내놓은 정치쇄신안은 비슷합니다.
둘 다 국회의원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고
특권을 없애자는 게 핵심입니다.
정당의 기초의원 공천권은 폐지하고,
국회 윤리위의 권한을 강화하자는 것도 같습니다.
오차 범위 내 박빙 구도 속에 중도 무당파 성향 유권자를 잡기 위해선
'정치 쇄신' 강조가 절실한 상황.
여야 모두 쇄신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을 이미 시작했습니다.
새누리당은 기초의원의 정당공천을 폐지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민주통합당은 국회의원 세비 30% 감축안을 당론으로 의결하고, 의원 겸직과 영리행위 금지법도 국회에 제출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쇄신안들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실현에 이를지는 아직 장담할 수 없습니다.
[인터뷰 황태순 / 정치평론가]
"입법권은 국회에 있을 수밖에 없고 그 국회에서 기득권을 내려놓지 않는다면은 대통령이 아무리 정치쇄신에 의지가 있다 하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여야 모두 자신들의 생존 문제와 직결되는 국회의원 정수 축소에는 여전히 반대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박창귭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