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이런 발표가 날때마다
공직사회는 술렁입니다.
통합되거나 부서 기능이 축소되는
부처는 공무원들의 살아남기 생존 경쟁이
치열해 지겠지요.
(여)하지만 분명한 것은
공직자들은 정년까지 신분이 보장된다는 것입니다.
개편 때문에 자리가 없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임수정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교육과학기술부는 우려 했던대로
도로 교육부로 남게되면서
허탈한 모습입니다.
특히 전담부서가 부활하지 못한
과학 부문 공무원들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인터뷰//교육과학기술부 관계자
ICT가 크게 언급이 되고 있는데,
그런 부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어
기대반 우려반...
15년 만에 통상 분야를
지식경제부에 내 주게 된
외교통상부는 예상 밖 조직 개편에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습니다.
당장 해외 공관에 나가있는 직원들은
향후 인사 조치를 초조하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4대강 사업 등을 추진하며
실세 부처로 군림했던
국토해양부, 전체 인력의
30%인 ‘해양’분야를 떼 주면서
위상 축소가 불가피해졌습니다.
싱크/국토부 관계자
아쉽지만 업무가 이질적인
부분도 있었기 때문에
경제부총리 부활 등
경제 컨트롤타워로 자리 잡은 기획재정부,
새롭게 주목받게 된 중기청은
‘표정관리’에 들어갔습니다.
인터뷰/박춘섭 기재부 대변인
부총리 기능은 경제가 어려우니까
열심히 하라는...
위상이 높아진 부처에서는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물밑 경쟁이 예상됩니다
반면 통합되는 부처 공무원들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향후 중앙부처 실*국 단위
재조정 과정에서
1-3급 고위직 자리가
줄어들 수 있어 간부들의
치열한 자리 다툼도
예상됩니다.
채널 A 뉴스 임수정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