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가 채택된 지 2시간도 안 돼서 북한이 이에 강하게 반발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여>북한이 선언한 대로 추가 도발에 실제로 나설 지를 예측해보고,
새 정부 출범 이후의 한반도 정세와 남북관계를 전망해보겠습니다.
동국대 북한학과 고유환 교수 모셨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포트]
1.북한의 반발이 예상보다 빨리 나왔습니다. 북한이 이렇게 신속하게 강경 대응에 나선 속내가 뭐겠습니까?
2.실제로 북한의 3차 핵실험이나 추가 장거리 로켓 발사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3.북한이 즉시 핵실험에 나설 만한 준비는 돼 있습니까?
4.이번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내놓은 대북제재 결의안에 대해서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하십니까?
5.한편에서는 제재 강도를 높여도 북한의 내성만 길러줄 뿐이고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 실효성이 별로 없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6. 박근혜 당선인은 신뢰구축과 비핵화 진전이 우선돼야 관계 개선 노력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습니다. 새 정부 초기에 남북 관계가 긴장 국면으로 갈 수밖에 없을까요?
7.결국 한반도 정세가 북한의 태도에 달려 있을 텐데요, 어떻게 하면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겠습니까?
말씀 잘 들었습니다.
지금까지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고유환 교수였습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