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중국의 탈북자 강제 북송 문제에 대한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국제 여론이 더욱 거세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김정안 기잡니다.
[리포트]
줄리아 로버츠 / 해리슨 포드
“(로버츠) 유엔인권 선언 제5조, 아무도 고문 및 가혹 행위를 받지
아니하며...(포드) 티베트인의 자유와 정의는 이에 기반해 보장되어야
한다.”
할리우드 스타들이 대거 출연한 이 캠페인 영상은
티베트 인권 문제를 대중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탈북자 문제 역시 국제적 문제로 격상시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브루스 벡톨 / 택사스앤젤로 주립대 교수
“북한 인권 문제가 미 대중문화 속으로 들어와야 합니다. 일반인도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알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티베트 사례처럼) 스타들이 지속적인 문제제기를 해야 합니다.”
국내 NGO단체의 전략 수정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정부의 한 고위 인사는
“한국 NGO들이 우리 정부만 바라보기보다 미 의회 등을 공략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미국 한인 사회와 연대도 필요하다는 겁니다.
부시 행정부 시절 국무부 북한 인권 특사라는 자리가 생긴 것은 마크 커크 상원의원 등이 발 벗고 나섰기 때문이고 그 뒤에는 한인 사회의 강력한 로비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중국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것도 또 다른 해결책이라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이밍장 싱가포르 난양 공대 교수
대량 탈북사태시 중국이 엄청난 경제적 부담을 져야 한다는 우려를 해소키 위해 한미일이 공동으로 국경 지대에 난민 캠프를 세워 줄 수도 있을 겁니다.
중국은 그동안 견지해 온 대북정책차원에서 탈북자 북송을 계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의 ‘조용한 외교’ 가 한계에 부닥친 상황에서 국제적 여론을 통한 중국의 인식전환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채널 A 뉴스 김정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