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직접 만지고 노는 ‘과학의 역사’ 50만 점

2012-07-02 00:00 문화,문화

[앵커멘트]

100년 전의 타자기와
우리 나라 최초의 3D 카메라는
박물관에서도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런 진기한 물건들이
50만 점이나 쌓여 있는 곳이 있습니다.

이영혜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13년 전 문을 닫은 학교 운동장에
컨테이너 박스가 가득 놓여있습니다.

빽빽하게 들어찬 것이
잡동사니 같지만

선교사들이 우리나라에 처음 들여온 타자기와
일제강점기 시대, 치과에서 볼 수 있었던 치료기구,
카메라가 두 개 달린 최초의 3D 카메라까지

우리나라 근·현대 과학 기술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귀중한 전시품들입니다.

지하철 1호선은 이곳으로 운송해오는 데만
1년이 넘게 걸렸습니다.

“1974년 개통한 우리나라의 첫 지하철입니다.
이렇게 지하철 14량을 전시실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호기심 많은 아이들이 전시물을 만지고 노는 탓에
현미경들에는 렌즈가 대부분 빠져 있습니다.

하지만 유리 진열장은 결코 만들지 않는다는 게
이곳 방침입니다.

[인터뷰 : 이우로/종합테마과학관]
“아이들이 실질적으로 그 물건을 만져보고
촉감을 느낌으로써 아이들이 거기서 취미를 갖게 되고
그 취미를 갖게 되면 과학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

유물들은 앞으로 국립중앙과학관에 맡겨져
대전 과학관에 전시될 계획입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