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서울 반포대교 근처 한강에 떠있는
둥그런 인공 섬,
드라마나 영화 세트로도 쓰인
세빛 둥둥 섬입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하나로
힘을 무척 쏟았죠.
그런데 이 섬이
졸속으로 밀어붙인
부실 덩어리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초 6백억 수준이던 사업비는
두배 넘게 껑충 뛰었고,
20년이던 투자 업체의 무상사용 기간도
별 이유없이 30년으로 늘어났습니다.
이쯤되면 서울시의 빚이 둥둥 떠다닌다는
'시 빚 둥둥섬'이란 비아냥을 들어도
할 말이 없겠죠?
정민지 기잡니다.
[리포트]
완공된 지 열 달이 지났지만
아직도 문을 열지 못한 세빛둥둥섬.
서울시 감사 결과
세빛둥둥섬 사업은 졸속으로
추진됐습니다.
서울시와 민간사업자는
협약을 바꾸면서
무상 사용 기간을
20년에서 30년으로 늘렸습니다.
또 민간사업자 잘못으로
계약이 해지되더라도
서울시가 천억원이 넘는 돈을 물어야 하는 등
민간사업자에게 유리하게 바뀌었습니다.
민간사업자는
연간 1억 원도 안 드는 하천 준설비를
10억원이 든다면서 경비를 부풀리고,
수입은 고의로 누락했습니다.
결국 투자비가
당초 662억원에서 1390억원으로
두 배 늘어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의회 동의도 받지 않았습니다.
[인터뷰:김상범 서울시 행정1부시장]
"사업을 어떻게든 빠르게 진행하려고 수단 방법 안 가리고
이뤄야겠다는 분위기가 이같은 절차상 문제점을 내포한 채
이뤄지지 않았나 생각..."
서울시는 공무원 15명을 징계하기로 했습니다.
"이로써 오세훈 전임 시장의 역점 사업이었던 세빛둥둥섬이
서울시의 민간사업 중 절차상 가장 문제가 많은 사업으로
기록되게 됐습니다.
한편 서해뱃길 등
한강 르네상스 사업 대부분이 중단되면서
천7백억원의 예산을 낭비한 것으로
추산됩니다.
채널 A 뉴스 정민지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