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가 체결되면
우리 생활에 어떤 변화가 올까요?
정부는 농민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다짐하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습니다.
정혜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인천항 국제여객 터미널에 막 도착한 중국인들.
상자, 포대, 이민용 트렁크에 가득찬 중국산 콩, 고춧가루는
봉고차에 실려 전국 식당으로 팔려나갑니다.
((중국산 농산물이) 국산이랑 따지면 가격이 어느 정도 차이가 나요?)
“얼핏 따지면 한 7배” “(국산은 비싸서) 있는 사람들이나 사 먹어야지 뭐
(허허허) 그 정도예요.”
한중 FTA가 체결되면
중국산 농산물은 밀수가 아닌 정식 유통경로로 들어와
전국 마트 등에서 싼값에 팔릴 전망입니다.
[정혜진 기자]
서민들의 대표음식인 된장찌개 재료를 제가 직접 사보겠습니다.
3만4400원 나왔습니다.
제가 오늘 산 이 재료들을 만약에 중국산으로 산다 그러면
가격은 5분의 1이상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고추는 15분의 1, 호박은 7분의 1 정도면 살 수 있습니다.
소비자 반응은 엇갈립니다.
중금속이다 뭐다 해서 중국산에 별로 관심 없어요.
가격이 싸고 물건이 좋고 또 품질이 안심이 되면 살 의향이 있어요.
경쟁력을 잃은 농업이 고사하면
소비자에게 장기적으론 손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우리나라 농업생산 기반이 붕괴가 된다면
(국제)가격이 오른 그 피해를 고스란히 소비자들이 부담하게 된다는...
식량주권을 지키려면
대통령의 임기에 억지로 맞추기보단
백년을 내다보고 협상을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정혜진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