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한미 FTA 발효일이 다음달 15일로 확정된 이후
여야 간 공수가 뒤바뀐 양상입니다.
새누리당은 재협상의 목소리를 높여온 민주통합당에 대해
무책임한 정치세력이라는 공세를 강화하는 반면
민주통합당은 향후 대응기조를 놓고 강온론이 엇갈리는 기륩니다.
황장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 때 한미 FTA를 추진했던 세력이 말바꾸기를 한다며 공세에 나섰습니다.
[인터뷰: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지난 20일)
"고칠점있으면양국간 교섭 통해 고쳐나가야지 자기들이 추진한 내용을 시작도 하기전에 다 바꾸고"
농촌표와 젊은 층의 FTA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의식해
FTA 언급을 꺼렸던 예전 분위기와 확 다릅니다.
민주통합당은 여권이 정권심판론을 피하기 위해 한미 FTA 논란을 키우려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재협상이 안되면 폐기해야 한다던 종래 태도에서 '무조건 폐기'는 아니라고 한발 물러섭니다.
[인터뷰: 이용섭/민주통합당 정책위의장]
"우리가 얘기하고 있는 것은 재협상을 해서 국익에 도움이 되는 FTA를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당내 강경파는 한미 FTA를 추진한 데 대한 자아비판을 하자며 선명성을 요구합니다.
[인터뷰: 정동영/민주통합당 의원]
"FTA를 시작한 참여정부가 원죄를 갖고 있어 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잘못을 인정하고 고쳐 나가야 하는 것이 국민의 신뢰를 얻는 첩경입니다."
한미 FTA 공방에서 누가 주도권을 쥐느냐에 따라 표심도 영향을 받을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황장석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