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특별 검사팀도 큰 틀에서는
검찰과 똑같은 결론을 내렸습니다.
(여) 중앙선관위 디도스 공격 사건에
배후의 윗선은 없었다는 겁니다.
(남) 다만 특검팀은
청와대가 사건을 축소한 혐의를
새로 밝혀냈습니다.
(여) 이종식 기자의 단독 보돕니다.
[리포트]
지난해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선관위 홈페이지가 디도스 공격을 받은 직후
경찰은 곧바로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두달 뒤 경찰은
최구식 전 의원의 비서 공모 씨가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며
공범 5명을 검찰에 송치했습니다.
검찰은 한 발 더 나아가
국회의장 전 비서인 김모 씨가 공모했고
공격의 대가로 천만원이 오갔다며
계획적인 범행으로 결론내렸습니다.
하지만 역시 윗선 개입 여부나
수사 은폐 축소 의혹은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스탠드업 : 이종식 기자]
이러한 과제를 떠안고 올해 3월
이곳 서울 역삼동 사무실에
수사팀을 꾸린 특검팀은
다음주 21일 결과를 발표하고
석달 간의 수사를 마무리합니다.
특검 또한 디도스 공격의 배후나 윗선을
찾아내지 못했습니다.
대신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최구식 전 의원에게
경찰 수사 상황을 알려주고
조현오 당시 경찰청장에게
두 차례 전화를 걸어
압력을 행사한 정황을 파악했습니다.
특검은 김 전 수석을 공무상 기밀 유출 혐의로
기소할 방침입니다.
또 구속된 국회의장 전 비서
김 씨 등 공범 3명을
도박장 개장 등의 혐의로
추가 기소할 계획입니다.
왠만한 지방검찰청 규모인
100여명의 수사팀을 꾸리고
수십억 원의 국민 세금을 쓰고도
절반의 성과를 내는데 그쳐
또 다시 특검 무용론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채널A뉴스 이종식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