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뉴스A]7달 동안 사전등록제 활용 ‘7건’…유명무실 치매노인 사전 등록제

2013-02-14 00:00 사회,사회

(남)세 번째 이슈로 넘어가겠습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이번 주말이나
다음 주초에
노인복지 정책을 쏟아냅니다.

65세 이상 어르신들이 인구의 10%를 넘은 현실에서
비상한 관심이 쏠리는데요.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노인 복지 문제가
산적해 있습니다.

(여)노후 보장의 기본 수단인 기초연금이 얼마가 될지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인수위가 막판 액수 조정에 힘을 쏟고 있다고
합니다.
 
병드신 어르신들, 특히 치매 노인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우선 백미선 기사의 리포트부터
보시겠습니다.





[앵커멘트]

치매에 걸린 노인들을 빨리 찾을 수 있도록
지문과 사진을 미리 등록해 놓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데요.

하지만 시행된지 7달이 지나도
등록률이 1%도 채 되지 않아
거의 유명무실해졌다고 합니다.

어찌된 사연인지 백미선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지난 12일 충남 서천에서
치매에 걸린 80대 할머니가
논바닥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실종된 지 8일 만입니다.

[인터뷰: 이건길 / 발견자]
“마네킹이 뼈다귀처럼 돼 있어 가지고 누워있으면.. 그런 형상이었거든 아주 깡 말라 갖고 너무 안쓰러워서 지금도 마음이 안 좋네...”

지난 한 해 치매노인 실종신고 건수는
7천6백여건.

치매노인들은 발견이 돼도
사는 곳이나 이름조차 확인이 어려워
보호자를 바로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전에 어르신의 사진과 지문을 등록해 놓는 제도가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됐지만
등록률이 0.4%에 불과합니다.

사전 등록제의 또 다른 대상인
아동과 지적장애인 등록률에 비해서도
낮습니다.

이렇다보니 지난 7달 동안
등록된 지문으로 실종 치매노인을 찾은 사례는
단 7건에 그쳤습니다.

치매환자 보호자들이 이 제도를 잘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등록을 하려면 치매 노인이 보호자와 함께 직접
경찰서를 찾아가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경찰이 이용자들을 '찾아가는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어린이집과 유치원 방문이 대부분입니다.

[전화 인터뷰: 경찰 관계자]
“지금 인력 투입하는 게 어린이집 유치원 쪽으로도 버거워요. 인력 증원되면 그런(치매노인 방문등록) 서비스까지 저희가 확대를 해볼 계획은 가져야 겠죠.”

치매 어르신 옷에
고유 번호를 붙여
실종에 대비하는 사업도 등록률이 4.5%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치매환자로 실종 신고된 어르신 가운데
170여명이
현재 생사조차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사전 등록률을 높일 획기적인
대안이 절실합니다.

채널A 뉴스 백미선입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