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있지도 않은 유령업체를 내세워
수백억원 대의
학교 급식 계약을 따낸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이런 양심불량 업체들이
남의 아이들 먹을 식자재 보관인들
제대로 했겠습니까?
채널 A 제휴사인
부산일보 김경희 기잡니다.
[리포트]
부산의 한 도매시장 옥상.
학교 이름표 아래로
식자재들이 쌓여 있습니다.
시장과 공터에서는 냉장보관돼야 할
우유와 치즈,달걀 같은 신선식품이
상온에 방치돼 있습니다.
학교급식 식자재로 배송될 식품들이지만,
위생이나 청결과는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이들 업체는 납품업체 선정 과정에서도
부정을 저질렀습니다.
식자재 공급업체 대표 55살 박 모 씨 등은
전자조달시스템에서 낙찰률을 높이기 위해
가족과 직원 명의의 유령업체를 만들어
중복 입찰에 나섰습니다.
위생기준 인증을 보유한 업체에
수수료를 떼주고 명의를 사들이기도 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2천700여 회에 걸쳐 공정 입찰을 방해하고,
440억원이 넘는 납품계약을 따냈습니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허술한
'학교급식 전자조달시스템'도 비리를 부추겼습니다.
[인터뷰 : 류삼영 / 부산경찰청 수사과]
"사이버상에서 등록하기 위한 조건이 너무 느슨하고
단가가 높아질 수 있고, 식자재의 질이 조금 떨어질 수 있고
공정한 입찰을 위해 만들었는데 반칙을 쓰는 사람이 더 유리한..."
경찰은 입찰 방해 혐의로
부산지역 식자재 공급업체 38곳을 적발하고,
업체 대표 6명을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부산일보 김경희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