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학교급식으로 납품되는
소고기의 유통과정을 속인 업자들이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소의 등급이나 부위를 알 수 있는
소고기 이력을 위반한 경우가 절반을
넘었습니다.
채널A 제휴사인
부산일보 김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반 소고기와 마찬가지로
학교 급식에 납품되는 소고기도
12자리의 식별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번호에는 소의 종류와 등급, 사육지, 성별 같은
주요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그런데 부산시 특별사법경찰이 점검을 해보니
절반 이상이 식별번호와 실제 납품된 고기가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부산지역 31개 초중고등학교를 점검했는데
15개 학교에 납품된 소고기 이력이 가짜였고
1곳은 표시가 아예 없었습니다.
[인터뷰:부산시특별사법경찰과 박두원 사무관]
"(학교에서 원하는) 물량이 부족할 경우, 다른 소의 고기를 섞어서 납품하는 사례가 있었고, 업주의 무관심과 일손 부족을 이유로 개체 식별번호를 (제대로) 챙기지 못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학교 측에선 납품업체가 소고기 이력을 속이는 것을
알아챌 방법이 없습니다.
[녹취:부산 모 고등학교 영양교사(음성변조)]
"학교도 피해자잖아요, 깜작 놀랬어요.
업체들을 선별해서 입찰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보완책이) 마련돼야 할 것 같아요."
위반 업체의 과태료가 500만원 이하에 불과해
현실성있는 더욱 강력한 처벌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부산일보 김경희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