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여권발급이나 일자리 상담같은
25가지 민원상담을 119 전화로
통합해서 접수받겠다고 밝혔습니다.
시민 생활이 편리해질 것이란
기대도 있지만
김문수 지사의 119 전화 파문
뒤끝이 남아있는 상황이어서
그런지 우려도 적지 않습니다.
우정렬 기자가 보도합니다.
===============================================
소방서 119 상황실.
화재신고나 구급출동 요청 외에도
다양한 민원전화가 걸려옵니다.
-------------------------------
현재 전국의 소방서는 가스나 수도고장,
청소년 폭력 신고 등
11가지 민원전화를 119로 접수받고 있습니다.
경기도가 여기에
여권발급이나 탈북자 상담, 부동산 등
14가지 전화를 추가해서 민원상담 통합시스템을 운영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립니다.
"앞으로는 119 번호 하나만 외우면 되니까 좋은 것 같은데요."
" 가장 긴급할 때 쓰는 119 번호를 쓰는 건 안좋은 것 같아요."
소방관들은
걱정이 앞섭니다.
"이런 민원을 119로 연결하게 되면 굉장희 인력이 딸리죠.
재난 업무 추진만 해도 힘들어요. 위에서 하시는 일이라..."
경기도는 재난종합상황실로 통합운영하면 시민 편익도 늘어나고
전화회선과 인력 효율성도 높일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경기도 관계자>>
"도시가스 고장 나서 전화하고 싶다고 하면 전화번호 모르시잖아요.
이용하는 사람 입장에선 훨씬 편하잖아요."
경기도는 시스템 준비와 시험운행을 하려면
실제 운영까지 1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우정렬 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