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재계가 총선이 끝나자마자
경제 공약을 다시 검토해달라고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8개월 뒤 대선을 앞두고
반기업 정서가 정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긴장한 상태에서 선수를 친 셈입니다.
한정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선거가 끝나자 그동안 숨 죽이고 있던 재계가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뷰/이동응 한국경영자총협회 전무]
“지나치게 진보적으로 나간다든지 아니면 재원을 감당할 수 없는
과도한 지나친 복지를 하는 것에 대해선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인터뷰/강석구 대한상공회의소 팀장]
"정치권 공약이 실제로 이행되기 보다는 경제상황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운영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
대한상의가 300개 기업에 물어본 결과 80%에 가까운 기업이 ‘경제공약에 무조건 얽매이지 말라’고 답했다며
정치권에 반 기업적 정책의 방향 전환을 주문했습니다.
재계가 공약 변경까지 적극적으로 요구한 것은
하반기에 있을 대선 걱정 때문입니다.
이번 총선에선 출자총액제 도입과 재벌 해체 공약을 내건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이 예상보다 부진한 성적을 올리면서 한시름 놨지만 복지 공약이 잘 먹히는 대선 정국은 부담입니다.
[녹취/대기업 관계자]
“총선때보다 대선 정국에 더 많은 경제 공약들이
나올 것으로 보고요. 산넘어산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기업들은 당선 의원의 성향을 분석하는 등 국회 구성에 앞서
벌써부터 정치권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특히 재벌개혁, 비정규직 해소를 주장하는 강성 의원이
여럿 국회에 입성해 긴장도가 높습니다.
[녹취/대기업 관계자]
"18대 국회와는 달리 초선의원이 많은 걸로 나타나고 있는데요
초선의원이 자기 자신을 내세우기 위해 공격적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부분이고.."
아울러 대기업들은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 전통상권 보호 등
동반성장과 관련한 기업 개혁이 국회에서 이슈가 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한정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