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1년 전, 헌법재판소는 위안부 문제를 적극 해결하지 않은 정부의 태도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후 정부는 200여 차례 일본과 접촉했지만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했는데요.
결국 국제무대가 다음 수순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정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정부는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이 양자 협의 의사가 없다고 판단하고 이 문제를 유엔 무대로 가져갈 방침입니다.
(녹취) 조태영 /외교통상부 대변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양자, 다자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나가겠습니다.”
현실적인 시나리오로는 10월 예정된 유엔인권이사회의 인권심사제도인 UPR 보고서가 꼽힙니다.
인권에 대한
보편적 정례검토, 즉 UPR이란 193개 유엔 회원국이 순차적으로 자국의 인권 상황에 대해
회원국들로부터 심사 받는 제도로 올 10월 심사 대상국은 일본이기 때문입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본 내 인권 상황에 대한 UPR보고서에 위안부 문제를 반영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음 달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 인권이사회와, 미국 뉴욕 유엔 총회 등을 통해서도 다각도로 위안부 문제제기를 시도한다는 방침입니다.
국제사회는 그동안 ‘한국 여성들이 강제와 사기에 의해 위안부가 됐다’고 서술한 1945년 연합군의 문서 외에도, 유엔이 조사해 내놓은 1998년 ‘맥두걸 보고서’ 등을 통해 일본 정부의 책임을 여러차례 명시했습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도 “사후까지 (위안부들을) 욕을 보이는 (일본에) 경악과 분노, 실망을 느낀다”고 비난했습니다.
일본의 위안부 망언이 국제사회에서까지 계속될 경우 인권선진국을 자청해온 일본의 위상이 그 어느 때보다 위태로와 보입니다.
채널A
뉴스 김정안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