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파워 레인저,
일본에서 태어나 30년 넘게 선풍적 인기를 누리다
우리 나라에 상륙한 어린이 모험극의 주인공입니다.
이 장난감이 국내에서 없어서
못팔 정도로 인기라는데요,
그런데 너무 비싸서 부모님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
김윤수 기자입니다.
===============================================
빨강, 파랑, 노랑, 검정색 옷을 입고
싸우는 용사들.
로봇들을 타고 순식간에
악당들을 물리칩니다.
요즘 아이들에게
아이돌 그룹 못지 않은 인기를 끌고 있는
파워레인저입니다.
(현장음)
(합체해서 때려! 합체해서 때려!)
TV속 주인공들이 인기를 끌면서
관련 장난감도 불티나게 팔리고 있습니다.
마트에서는 합체로봇을 사달라고
떼쓰는 아이들이 곳곳에서 눈에 띕니다.
[현장음]
이거 살 거야? (네!) 똑같은 거네 블루.
(아니야. 이거 없거든.)
합체로봇은 여러대의 로봇이 결합해
하나의 큰 로봇이 되는 구조입니다.
로봇 시리즈 별로 합체 댓수가 다르지만
값이 싼 것도 보통 30~40만 원에 달합니다.
가장 인기리에 판매됐던 파워레인저
엔진포스 시리즈는 프리미엄이 붙어
가격이 90만 원에까지 치솟았습니다.
비싼 가격 때문에 부모 등골을 휘게 해
등골브레이커로 불리는 ‘노스페이스’
점퍼를 훌쩍 넘는 수준입니다.
[인터뷰 : 이은영/유치원생 부모]
“한 가지 사면 또 연계해서 또 사고 또 사고,
한 번으로 해결이 안 되니까 부담감이 있죠."
안그래도 자녀 교육에 부담이
만만치 않은 요즘 부모들.
상식을 넘는 비싼 장난감이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