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굿모닝!]스마트폰 개인정보 무단수집 논란

2011-12-05 00:00 경제,사회,사회

최근 미국 통신사들이 스마트폰에 개인정보를 몰래 수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는데요.


국내 스마트폰에도 비슷한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동아일보 정진욱 기자와 함께 자세한 얘기 들어보겠습니다.


정 기자, 지난 주 미국에서 한 통신사가
스마트폰에 ‘캐리어IQ'라는 소프트웨어 깔아
개인정보를 수집했다가
집단 소송을 당했다던데요.

우선 캐리어IQ라는 게 뭡니까.


기자 : 네 캐리어IQ는. 스마트폰 이용자가 누구한테 문자를 보냈는지,
누구와 통화했는지 등 각종 개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스프린트,
AT&T, T모바일 같은 대표적인 이동 통신사가 이용자 몰래 스마트폰 안에 깔아 놓고 정보를 수집해 온 사실이
최근에
발각됐습니다.

이 때만 해도 국내 이동 통신사와 휴대전화 제조사는는 국내 스마트폰에는 캐리어IQ가 깔려 있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앵커 : 그렇다면
국내 스마트폰에도 캐리어IQ가 깔린 겁니까?



기자 : 똑같은 프로그램은 아니지만 비슷한 기능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S, 갤럭시S2. 또 최근 출시된 갤럭시 노트에 깔려 있었습니다.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과 함께 파악한 내용인데요.
이 앱이 본래 용도와 무관하게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었습니다.

거울 앱의 경우 카메라로 이용자의 얼굴을 보여주는 단순한 앱인데요. 그런데 이 앱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연락처, 캘린더 일정, 스마트폰 이용자의 위치, 문자 메시지 내용, 사진 등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게 설계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스마트폰 제조회사가 마음만 먹으면 이 정보를 사용자 몰래 빼내거나, 삭제할 수 있다는 거죠.


앵커 : 국내에서도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텐데요.
당황스럽네요. 삼성전자는 뭐라고 해명했습니까?


기자: 삼성전자는 이 애플리케이션이 개인정보에 접근할 권한이 있다는 사실은 인정했지만, 개인정보를 빼낸 것은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개발과정의 단순 실수라고 했는데요. 그래도 문제는 됩니다.
왜냐면 이런 개인정보를 다량으로 수집한다는 사실을 이용자에게 직접 알리고 동의를 구하지 않았기 때문이죠.

또 다른 문제는 이 앱을 이용자가 삭제하고 싶어도 삭제할 수가 없다는 데 있습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삼성전자가 직접 스마트폰에 심어 놓은 것이기 때문이죠.

삼성전자는 이 앱이 개인정보를 빼낼 수 없게 새 스마트폰을 배포하는 등 신속히 후속작업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앵커 : 기업들이 왜 무리수를 두어가면서까지 스마트폰 사용정보에 욕심을 내는 걸까요?
.
기자 : 스마트폰 사용정보가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거울 앱의 경우 스마트폰 이용자의 캘린더 일정, 연락처, 위치정보, 문자메시지 내용 등 매우 민감한 정보를 속속들이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정 스마트폰 이용자가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 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면 기업 입장에선 이 이용자의 생활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마케팅을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정보는 통화 품질이나 휴대전화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도 유용합니다. 특정 지역에서 휴대전화가 잘 터지는지 여부 등 통신상태에 대한 정보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앵커 : 네 그렇군요. 제조회사가 빠른 조치를 취해야겠네요.


정 기자 수고했습니다.
[채널A 뉴스] 구독하기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