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 택시 업계는 택시 요금을 현실화하고
LPG 가격도 인하해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여) 하지만 정부 입장은 완고합니다.
택시 노사가 운행 중단을 장기화하면
면허정지 같은 강경 대응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상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번 운행 중단은 법인 택시와 개인택시,
택시 노사가 모두 참여하는 유례없는 대규모 파업입니다.
[인터뷰 : 이정석 / 택시기사]
"이거는 남의 일이 아니고 생존하고 관계된 거기 때문에"
[인터뷰 : 김재희 / 택시기사]
"15시간 근무를 해도 한 달 수입이 130만 원을 넘질 않아요."
택시 업계의 가장 큰 요구사항은
택시를 대중교통에 포함시켜
제도적으로 지원해달라는 겁니다.
또 LPG 가격을 안정시키고,
LPG 차량 뿐 아니라 연비가 높은
클린디젤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등
모두 다섯가지 요구사항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 공명호 택시연합회 전무]
"대중교통이라고 요금은 못올리게 하고 지원은 안해준다"
하지만 국토해양부는 수송분담율이 30% 안팎인
버스나 지하철과 달리 9%대에 불과한 택시를
대중교통수단에 포함시킬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또 국제유가와 연동된 LPG가격을
당장 안정화하는 것도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인터뷰 : 김용석 국토부 담당자]
"재정지원을 수반하는데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국토부는 이번 파업에 대비해
버스와 지하철 막차시간을 연장하고
운행 횟수를 늘리고 개인택시 부제를 해제했습니다.
또한 응급환자 수송을 위해
경찰 소방과 긴밀한 협조를 유지하는 한편,
또다시 발생할지 모르는 2,3차
운행중단에 대비해 모든 법적수단을 강구할 방침입니다.
채널에이 뉴스. 이상연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