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이번 민간인 불법사찰
논란의 핵심은
바로 이명박 대통령까지
관련이 됐는지 여붑니다.
그런데 청와대가
애매한 태도로 일관하면서
의혹만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그 이유가 뭘까요?
이용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야당은 이번 사건의 몸통이 이명박 대통령이라며
연일 공세를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사안의 성격상 이 대통령이
어떤 형식으로건 보고를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총리실 소속인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보고 체계는
공직윤리지원관이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에게 보고하면
민정수석이 보고를 받도록 돼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비선 라인이
이 대통령에게 직보했을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증거인멸 사건이 터지기 직전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이
장차관들에 대한 순위표를
이 대통령에게 직보했다는 증언도 나왔습니다.
"순위표와 스크린 자료를 예전에 드렸더니,
VIP께서 '바로 이거야'하고 칭찬했다고
(진경락 전 기획총괄과장이) 그런 말씀하셨죠."
이번 사건을 대하는 청와대의 태도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과거 정부도 했으니 문제될 것이 없다는 식의 태도는
전형적인 물타기라는 비판이 나옵니다.
언론사 임원진 교체와 관련한 청와대 하명 보고서는
언론 장악을 위한 불법사찰이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7월 의혹이 처음 제기됐을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권재진 법무부장관은 증거인멸 과정 개입
의혹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입니다.
채널A 뉴스 이용환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