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남) 이번 미국 대선이 막판까지 혼전인 이유는
다양한 변수들과 더불어
미국의 독특한 선거 방식때문입니다.
(여) 심지어는 상대 후보 보다
많은 표를 얻고도
패배한 경우까지 있을 정돕니다.
(남) 이번 선거의 관전 포인트를
워싱턴에서 한우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00년 미국 대선에서
민주당 앨 고어 후보는
부시 후보보다 54만 표 이상을 더 얻고도 졌습니다.
선거인단 수에서
부시가 고어를 앞섰기 때문입니다.
[녹취; 앨 고어 후보]
"조금 전 저는 부시 후보에게
43대 대통령에 당선된 것을 축하한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결과는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뽑는 미국의 독특한
간접 선거 방식 때문에 가능합니다.
주별로 인구비례에 따라 선거인단 수가 정해져 있는데,
해당 주에서 한 표라도 더 얻는 후보가
그 주의 선거인단을 싹쓸이 합니다.
일명 승자독식.
두 후보 모두 경합주에 전력을 쏟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그럼 경합주에서 승기를 잡을 수 있는 요인은 뭘까?
최대 핵심은 경제문제.
유권자들에게 누가 미국 경제의 미래를 책임져야 할지를 물었습니다.
[녹취: 리버프 / 일리노이 거주]
“롬니죠, 경제 전문가로서 경험을 갖췄으니까요.”
[녹취: 케이튼 / 콜로라도 거주]
“물론 오바마죠. 저는 부유층의 세금을 줄이겠다는 롬니의 생각에 동의할 수 없어요.”
여기에 인종별, 성별 표심도 중요 변수로 꼽힙니다.
4년 전 사상 첫 흑인 대통령 탄생에 기여했던
백인 남성들의 표심이
최근 롬니 쪽으로 옮겨진데다,
무당파의 지지율 또한 47%대 40%로
롬니 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오바마의 속을 태우고 있습니다.
허리케인 샌디의 악몽이 아직 생생한
이 곳 미국 북동부 지역에는
선거일인 6일, 소규모 허리케인이
또 올 거란 예보가 전해졌습니다.
선거 당일 궂은 날씨라는
또 하나의 변수가 추가된 셈입니다.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한우신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