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19대 총선을 앞두고 유권자수 등을 고려해 선거구를 재조정하는
선거구 획정작업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원칙이 실종된 채 저마다 유리한 지역을 늘리고, 불리한 지역을 줄이려는 이른바 '게리멘더링'이 재연될 조짐입니다.
송찬욱 기자 보돕니다.
===============================================
국회의장 자문기구인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해 11월
선거구 8곳을 나누고, 5곳을 합치는
선거구획정안을 내놨습니다.
인구수가 가장 많은 선거구와 가장 적은 선거구의 인구편차가
3대1을 넘지 말아야 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에 맞추기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지난주부터 공식 논의에 들어간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는 여야가 자신들의 지역구수가 줄어드는 통폐합에
기를 쓰고 반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선거구를 분할해 지역구수를 늘리는
논의만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강원도 원주와 경기도 파주는 각각 두 개 선거구로 나누고,
세종시엔 선거구를 신설하자는 데 한나라당과 민주당 간사의 의견이 접근했습니다.
또, 하나의 선거구로 돼있는
경기도 여주와 이천은 떼어내고,
여주를 양평·가평과 통합키로 했습니다.
그러나 자유선진당은 자신들의 텃밭인
충남 천안을 왜 나누지 않느냐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당초 획정위는
갑 을 병 3개 선거구로 돼있던 대구 달서구를
갑을 2개로 통폐합하는 안을 냈으나 한나라당의 강한 반발로 3개 선거구를 유지키로 했습니다.
[인터뷰: 주성영 한나라당 국회의원 (대구 동구갑)]
"수도권 선거구수를 늘리기 위해 (대구) 달서구를 줄이는 게 말이 되느냐."
또 획정위는 현재 갑을로 나뉘어 있는 전남 여수시를
하나로 합치도록 권고안을 냈으나 정개특위에서는
민주당의 반대를 감안해 논의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스탠드업: 송찬욱 기자]
인구수와 생활구역 등
선거구 획정의 기준은 무시한 채
오로지 정치권의 유불리만 따진
그들만의 선거구 획정이 되고 있습니다.
채널A 뉴스 송찬욱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