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학생들의
학교 선택 기회를 넓히기 위해
도입된 고교선택제를
서울시교육청이 3년이 채 안돼
개편하겠다고 나서 논란입니다.
그나마 내놓은 대안들은
'경제적 여유가 있는 상류층에게만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강버들 기잡니다.
[리포트]
고교선택제 개편안 발표를 앞두고
서울교육발전자문위원회의
모의배정 분석 결과 보고서가 공개됐습니다.
자문위원회는
거주지 학군 소재 학교에
학생을 강제 배정하는 A안과,
거주지와 인접 학군을 묶은 '통합학군'에 속한
학교 중 5곳에 지원하도록 하는 B안에
사실상 '반대' 의견을 내놨습니다.
모의 배정 결과, A안과 B안 모두
학생이 희망하는 학교에 배정되는 비율이
낮아집니다.
학교간 성적 격차는 A, B 안 모두
현재보다 줄었습니다.
자문위원회는
고교선택제를 폐지하거나 축소하면
강남 등 선호 학군으로 이사를 가거나
위장전입을 할 수 있는
"상류층에게만 학교선택권을 보장하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검토의견을 냈습니다.
하지만 서울시교육청 내부에서는
학교 서열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어떻게든 고교선택제를 개편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강합니다.
[전화인터뷰 : 교육청 관계자]
"(담당 부서에서) 고민을 많이 하고 있더라고요.
뭔가 개선을 하기는 할 건데. 시점이 문제인거 같아요."
학부모들은 이런 시교육청의 움직임에
부정적입니다.
[인터뷰:최미숙 학교를사랑하는학부모모임 대표]
"있는 학생들만 교육의 기회를 받을 수 있는 불평등을 초래하기 때문에 고교선택제를 축소하는 것은 학생 학부모 입장에서는 횡포라고 봐요."
곽노현 교육감은 고입전형위원회의 의견까지 들은 뒤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입니다.
채널에이 뉴스 강버들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