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어지럼증을 호소하다 쓰러져 식물인간이 된 48살 남성.
질병관리본부는 이 남성이 수술을 통해 의인성CJD에 감염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988년 광주의 한 병원에서 뇌출혈 수술을 받는 과정에서 독일제 인조 뇌경막 '라이오듀라'를 이식받은 사실이 확인됐기 때문입니다.
‘라이오듀라’는 사람의 뇌경막을 원료로 만든 제품으로, CJD의 원인으로 밝혀져 지난 1987년 생산이 중단됐습니다.
국내서 의인성CJD 감염이 확인된 것은 지난 7월 숨진 54살 여성 이후 두 번째입니다.
[박혜경 질병관리본부 과장]
“일반적으로 뇌실질 출혈에 의한 수술시 뇌경막 이식은 매우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이 분은 아마 심한 외상에 의해서 뇌경막이 손실되었을 것으로 추정이 되고요."
하지만 보건당국은 이 환자에게 이식된 인공 뇌경막이 어떤 과정을 거쳐 수입됐는지는 아직까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보건당국은 생산 중단 전 유통된 제품을 이식 받은 환자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대한의사협회 등에 CJD 환자들의 병력을 자세히 기록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보건당국은 확인가능한 CJD환자 모두를 대상으로 뇌경막수술 여부 등을 추적 조사한다는 방침입니다.
채널A뉴스 윤성철입니다.
Copyright Ⓒ 채널A.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